T world biz 본 법률검색 서비스는 ㈜인텔리콘연구소에서 T world Biz 고객 전용으로 제공하고 있습니다.

지방교육자치에 관한 법률

[시행 2014. 2.13.] [법률 제12394호, 2014. 2.13., 일부개정]
원본 조문

제10조(교육의원후보자의 자격 등)

①교육의원후보자가 되려는 사람은 시ㆍ도의회의원의 피선거권이 있는 사람으로서 후보자등록신청개시일부터 과거 1년 동안 정당의 당원이 아닌 사람이어야 한다.

②교육의원후보자가 되려는 사람은 후보자등록신청개시일을 기준으로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경력이 5년 이상 있거나 다음 각 호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경력을 합한 경력이 5년 이상 있는 사람이어야 한다.

1. 교육경력 : 「유아교육법제2조제2호의 규정에 따른 유치원, 「초ㆍ중등교육법제2조 및 「고등교육법제2조의 규정에 따른 학교(이와 동등한 학력이 인정되는 교육기관 또는 평생교육시설로서 다른 법률에 따라 설치된 교육기관 또는 평생교육시설을 포함한다)에서 교원으로 근무한 경력

2. 교육행정경력 : 국가 또는 지방자치단체의 교육기관에서 국가공무원 또는 지방공무원으로 교육ㆍ학예에 관한 사무에 종사한 경력과 「교육공무원법제2조제1항제2호 또는 제3호의 규정에 따른 교육공무원으로 근무한 경력

관련 판례 

교육위원선거당선무효

대법원 2009.02.26 선고 2008우26 판례

교육위원선거당선무효 상고각공2008하,1573

대법원 2008.08.22 선고 2008수10 판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