광주광역시교육청 행정기구 설치 조례 시행규칙

[시행 2020.12. 1.] [광주광역시교육규칙 제643호, 2020.11.15., 일부개정]

제1조(목적) 이 규칙은 「지방교육행정기관의 기구와 정원 기준 등에 관한 규정」제9조제2항 , 제10조 , 제11조 , 제12조제2항 및 제21조제2항 과 「광주광역시교육청 행정기구 설치 조례」제2조 에 따라 광주광역시교육청 행정기구의 설치 및 그 사무분장 등 조례 시행에 필요한 사항을 규정함을 목적으로 한다. <개정 2017. 12. 19.>

제2조(담당관ㆍ과장ㆍ부장의 직무) 담당관·과장·부장은 소속기관의 장을 보조·보좌하고, 그 소속공무원을 지휘·감독한다.

제3조(보좌기관) ① 교육감 밑에 공보담당관 및 시민참여담당관을 두며 공보담당관 및 시민참여담당관은 지방서기관으로 보한다. <신설 2014. 1. 1.> <개정 2019. 1. 30.>

② 제1항의 규정에도 불구하고, 시민참여담당관은 「지방공무원법」제29조의4 에 따른 개방형 직위로 임기제 공무원을 임용할 수 있다. <신설 2019. 1. 30.>

③ 부교육감 밑에 감사관을 둔다. <개정 2012. 12. 28., 2019. 1. 30.>

제4조(감사관) ① 감사관은 지방부이사관으로 보한다. <개정 2012. 06. 19., 2012. 12. 28.>

② 제1항의 규정에도 불구하고, 감사관은 「지방공무원법」제29조의4 에 따른 개방형 직위로 임기제 공무원을 임용할 수 있다. <개정 2012. 12. 28.,2017. 12. 19.>

③ 감사관 밑에 지방서기관 1명을 둔다. <개정 2013. 07. 01.>

[종전 제4조 삭제, 제5조는 제4조로 이동 <2019. 1. 30.> ]

제5조(정책국) ① 정책국에 정책기획과·민주시민교육과·노동정책과 및 안전총괄과를 둔다.

② 정책국장은 장학관 또는 지방부이사관으로, 정책기획과장 및 민주시민교육과장은 장학관으로, 노동정책과장 및 안전총괄과장은 지방서기관으로 보한다.

[본조 신설 2019. 1. 30.]

제6조(교육국) ① 교육국에 초등교육과·중등교육과·유아특수교육과 및 체육예술융합교육과를 둔다. <개정 2014. 2. 20., 2015. 1. 1., 2019. 1. 30.>

② 교육국장·초등교육과장·중등교육과장·유아특수교육과장 및 체육예술융합교육과장은 장학관으로 보한다. <개정 2014. 2. 20., 2015. 1. 1.,, 2019. 1. 30.>

제7조(행정국) ① 행정국에 총무과·교육자치과·행정예산과·재정복지과 및 교육시설과를 둔다. <개정 2014. 1. 1., 2019. 1. 30.>

② 행정국장은 지방부이사관으로 보하고, 총무과장·교육자치과장·행정예산과장·재정복지과장은 지방서기관으로, 교육시설과장은 지방서기관 또는 지방기술서기관으로 보한다. <개정 2019. 1. 30.>

제8조(원장) 광주광역시창의융합교육원(이하 "창의융합교육원"이라 한다)의 원장은 교육연구관으로 보한다. <개정 2014. 01. 01., 2019. 1. 30.>

제9조(하부조직) ① 창의융합교육원에 수리과학부·국제교육부 및 총무부를 둔다. <개정 2019. 1. 30.>

② 수리과학부장 및 국제교육부장은 교육연구관으로, 총무부장은 지방서기관으로 보한다. <개정 2014. 01. 01., 2019. 1. 30.>

제10조(원장) 광주광역시교육연수원(이하 "연수원"이라 한다)의 원장은 교육연구관으로 보한다. <개정 2014. 01. 01.>

제11조(하부조직) ① 연수원에 연수기획부·교원연수부·행정연수부 및 총무부를 둔다. <개정 2019. 1. 30.>

② 연수기획부장 및 교원연수부장은 교육연구관으로, 행정연수부장 및 총무부장은 지방서기관으로 보한다. <개정 2014. 01. 01., 2019. 1. 30.>

제12조(원장) 광주광역시학생교육원(이하 "교육원"이라 한다)의 원장은 교육연구관으로 보한다. <개정 2014. 01. 01.>

제13조(하부조직) ① 교육원에 교학부 및 총무부를 둔다.

② 교학부장은 교육연구관으로, 총무부장은 지방서기관 또는 지방기술서기관으로 보한다.

제14조(관장) 광주학생독립운동기념회관(이하 "학생회관"이라 한다)의 관장은 지방부이사관으로 보한다. <개정 2014. 01. 01.>

제15조(하부조직) ① 학생회관에 관리과·선양과 및 문헌정보과를 둔다.

② 관리과장 및 선양과장은 지방교육행정사무관·지방행정(전산)사무관·지방보건사무관 또는 지방사서사무관으로, 문헌정보과장은 지방사서사무관으로 보한다. <개정 2013. 07. 01., 2019. 1. 30.>

제16조(관장) 금호평생교육관(이하 "평생교육관"이라 한다)의 관장은 지방부이사관으로 보한다. <개정 2014. 01. 01.>

제17조(하부조직) ① 평생교육관에 관리과·운영과 및 문헌정보과를 둔다.

② 관리과장 및 운영과장은 지방교육행정사무관·지방행정(전산)사무관·지방보건사무관 또는 지방사서사무관으로, 문헌정보과장은 지방사서사무관으로 보한다. <개정 2013. 07. 01., 2019. 1. 30.>

제18조(관장) 광주광역시교육감 소관 도서관(이하 "도서관"이라 한다)의 관장은 지방서기관 또는 지방사서사무관으로 보한다.

제19조(하부조직) ① 도서관에 관리과 및 문헌정보과를 둔다.

② 관리과장은 지방교육행정사무관·지방행정(전산)사무관·지방보건사무관 또는 지방사서사무관으로, 문헌정보과장은 지방사서사무관으로 보한다. <개정 2013. 07. 01., 2019. 1. 30.>

③ 분관에는 분관장을 두되, 분관장은 지방사서주사로 보하며, 관장의 명을 받아 분관의 사항을 처리한다. <신설 2015. 01. 01.>

제20조(관장) 광주학생교육문화회관(이하 "학생문화회관" 이라 한다)의 관장은 지방부이사관으로 보한다. <개정 2014. 01. 01.>

제21조(하부조직) ① 학생문화회관에 관리과·운영과 및 문헌정보과를 두고, 센터로 예술영재교육원을 둔다. <개정 2012. 06. 19.>

② 관리과장 및 운영과장은 지방교육행정사무관·지방행정(전산)사무관·지방보건사무관 또는 지방사서사무관으로, 문헌정보과장은 지방사서사무관으로 보하고, 예술영재교육원센터장을 장학관 또는 장학사로 보한다. <개정 2012. 06. 19., 2013. 07. 01., 2019. 1. 30.>

제22조(원장) 광주광역시교육연구정보원(이하 "교육연구정보원" 이라 한다)의 원장은 교육연구관으로 보한다. <개정 2014. 01. 01.,2019. 1. 30.>

제23조(하부조직) ① 교육연구정보원에 연구정보부·진로교육부 및 총무부를 두며, 총무부에는 관리과 및 전산과를 둔다. <개정 2013. 07. 01.,2017. 12. 19.,2019. 1. 30.>

② 연구정보부장 및 진로교육부장은 교육연구관으로, 총무부장은 지방서기관으로, 관리과장은 지방교육행정사무관으로, 전산과장은 지방행정(전산)사무관으로 보한다. <개정 2013. 07. 01., 2014. 01. 01.,2017. 12. 19.,2019. 1. 30.>

제24조(원장) 광주광역시유아교육진흥원(이하 "유아교육진흥원"이라 한다)의 원장은 교육연구관으로 보한다. <개정 2014. 01. 01.>

제25조(하부조직) ① 유아교육진흥원에 연구·운영과, 관리과를 둔다.

② 연구·운영과장은 교육연구관 또는 교육연구사로, 관리과장은 지방교육행정사무관으로 보한다. <개정 2014. 01. 01.>

제26조(단장) 광주광역시학교시설지원단(이하 "지원단"이라 한다)의 단장은 지방서기관 또는 지방기술서기관으로 보한다.

제27조(하부조직) ① 지원단에 시설지원1과·시설지원2과 및 시설지원3과를 둔다. <개정 2019. 1. 30.>

② 시설지원1과장·시설지원2과장 및 시설지원3과장은 지방시설사무관 또는 지방공업사무관으로 보한다. <개정 2019. 1. 30.>

제28조(원장) 광주학생해양수련원(이하 "해양수련원"이라 한다)의 원장은 교육연구관으로 보한다.

[본조신설 2015. 12. 30.]

[종전 제28조는 제30조로 이동 <2015. 12. 30.> ]

제29조(하부조직) ① 해양수련원에 운영과 및 관리과를 둔다.

② 운영과장은 교육연구관 또는 교육연구사로, 관리과장은 지방교육행정사무관으로 보한다.

[본조신설 2015. 12. 30.]

[종전 제29조는 제31조로 이동 <2015. 12. 30.> ]

제30조(하부조직) ① 교육지원청에는 교육지원국 및 행정지원국을 둔다. <개정 2015. 01. 01.>

② 교육지원국장은 장학관으로, 행정지원국장은 지방서기관으로 보한다.

[제28조에서 이동 <2015. 12. 30.> ]

제31조(교육지원국) ① 교육지원국에 초등교육지원과·중등교육지원과 및 민주시민교육지원과를 둔다. <개정 2019. 1. 30.>

② 초등교육지원과장·중등교육지원과장 및 민주시민교육지원과장은 장학관으로 보한다. <개정 2019. 1. 30.>

[제29조에서 이동 <2015. 12. 30.> ]

제32조(행정지원국) ① 행정지원국에 학교운영지원과·평생교육복지과 및 학교시설지원과를 둔다. <개정 2019. 1. 30.>

② 학교운영지원과장은 지방교육행정사무관으로, 평생교육복지과장은 지방교육행정사무관 또는 지방보건사무관으로, 학교시설지원과장은 지방시설사무관 또는 지방공업사무관으로 보한다. <개정 2019. 1. 30.>

[제30조에서 이동 <2015. 12. 30.> ]

제33조(부서별 분장사무) 본청의 담당관·과별, 직속기관의 부·과별, 교육지원청의 과별 세부 분장사무는 별표와 같다. <개정 2012. 06. 19., 2012. 08. 31., 2012.09.l8, 2015. 01. 01.>

[제31조에서 이동 <2015. 12. 30.> ]

부칙 < 제229호,1998. 12. 23.>

① (시행일) 이 규칙은 1999년 1월 1일부터 시행한다.

② (다른 규칙의 폐지) 1. 내지 3. 생략

③ (다른 규칙의 개정) 1. 내지 9. 생략

④ (다른 규칙 등과의 관계) 이 규칙 시행당시 다른 규칙 등에서 종전의 광주광역시교육청사무분장규칙에 의하여 인용된 경우에는 종전의 규칙에 갈음하여 이 규칙에 의하여 인용된 것으로 본다.

부칙 < 제247호,2000. 03. 10.>

이 규칙은 공포한 날부터 시행한다.

부칙 < 제251호,2000. 08. 09.>

이 규칙은 공포한 날부터 시행한다.

부칙 < 제261호, 2001. 01. 30.>

① (시행일) 이 규칙은 공포한 날부터 시행한다.

② (다른 규칙의 개정) 1. 광주광역시교육청행정기구설치조례시행규칙중 다음과 같이 개정한다.

제5조제7항제2호중 "사회교육"을 "평생교육"으로 한다.

제20조제5항제2호중 "사회교육"을 "평생교육"으로 한다.

2. 생략

부칙 < 제266호,2001. 05. 12.>

이 규칙은 공포한 날부터 시행한다.

부칙 < 제268호,2001. 06. 01.>

이 규칙은 공포한 날부터 시행한다.

부칙 < 제277호,2002. 01. 09.>

이 규칙은 공포한 날부터 시행한다.

부칙 < 제281호,2002. 07. 01.>

이 규칙은 공포한 날부터 시행한다.

부칙 < 제286호,2002. 12. 02.>

① (시행일) 이 규칙은 2002년 12월 2일부터 시행한다.

② (광주광역시교육청행정기구설치조례중개정조례 시행일에 관한 규정) 조례 제3164호 광주광역시교육청행정기구설치조례중개정조례는 2002년 12월 2일부터 시행한다.

부칙 < 제292호,2003. 01. 30.>

① (시행일) 이 규칙은 공포한 날부터 시행한다.

② (다른 규칙의 개정) 1. 내지 2. 생략

부칙 < 제300호,2003. 08. 25.>

이 규칙은 2003년 9월 1일부터 시행한다.

부칙 < 제308호,2004. 04. 03.>

이 규칙은 공포한 날부터 시행한다.

부칙 < 제313호,2004. 06. 29.>

이 규칙은 공포한 날부터 시행한다.

부칙 < 제316호, 2004. 08. 27.>

① (시행일) 이 규칙은 공포한 날로부터 시행한다.

② (한시기구존속기간) 이 조례시행규칙의 시행으로 신설된 혁신·복지담당관의 존속기간은 2007. 6. 30.까지로 한다.

부칙 < 제339호,2006. 07. 01.>

이 규칙은 공포한 날부터 시행한다.

부칙 < 제347호, 2006. 08. 17.>

제1조 (시행일) 이 규칙은 공포한 날부터 시행한다.

제2조 (다른 규칙의 개정) ①「광주광역시 학원의 설립·운영 및 과외교습에 관한 조례 시행규칙」 중 다음과 같이 개정한다.

제11조 제3항제1호 중 "광주광역시물가관련과장, 과학기술평생교육과장"으로 한다.

②「광주광역시 고등학교 체육특기자 선발에 관한 규칙」 중 다음과 같이 개정한다.

제6조제3항 중 "체육보건교육과장"을 "체육보건교육협력과장"으로 한다.

제3조 (훈령의 개정) ①「광주광역시교육청 내부위임 전결 규정」 중 다음과 같이 개정한다.

별표 2 중 "6. 과학기술인적자원과"를 "6. 과학기술평생교육과"로 "7. 체육보건교육과"를 "7. 체육보건교육협력과장"으로 한다.

②「광주광역시교육청 정보공개 운영 규정」 중 다음과 같이 개정한다.

별표 1 중 "[과학기술인적자원과]"를 "[과학기술평생교육과]"로 "[체육보건교육과]"를 "[체육보건교육협력과]"로 한다.

부칙 < 제358호,2007. 02. 15.>

이 규칙은 2007년 3월 1일부터 시행한다.

부칙 < 제382호, 2007. 06. 25.>

제1조 (시행일) 이 규칙은 2007년 7월 1일부터 시행한다.

제2조 (다른 규칙의 개정) ① 광주광역시 방송통신고등학교 운영 규칙 일부를 다음과 같이 개정한다.

제3조제3항 중 "실업계"를 "전문계"로 한다.

② 광주광역시 교육과정 편성·운영에 관한 규칙 일부를 다음과 같이 개정한다.

제9조제6호 중 "실업계고등학교"를 "전문계고등학교"로 한다.

③ 광주광역시 수업료 및 입학금에 관한 조례 시행규칙 일부를 다음과 같이 개정한다.

제2조 별표 중 "실업계"를 "전문계"로 한다.

제3조(다른 훈령의 개정) ① 광주광역시교육청 행정감사 규정 일부를 다음과 같이 개정한다.

제4조제1항제3호 중 "실업계고등학교"를 "전문계고등학교"로 한다.

② 광주광역시교육청 정보공개 운영 규정 일부를 다음과 같이 개정한다.

제4조제1항 별표 1 과학기술정보화과란중 "실업계"를 "전문계"로 한다.

③ 광주광역시교육청 내부위임 전결 규정 일부를 다음과 같이 개정한다.

제5조 별표 과학기술정보화과란중 "실업"을 "전문"으로 한다.

부칙 < 제387호,2007. 12. 24.>

이 규칙은 2008년 1월 1일부터 시행한다.

부칙 < 제391호,2008. 02. 27.>

이 규칙은 2008년 3월 1일부터 시행한다.

부칙 < 제392호, 2008. 05. 15.>

제1조(시행일) 이 규칙은 공포한 날부터 시행한다.

제2조(다른 규칙 및 훈령의 개정) ①~④생략

⑤ 광주광역시교육청 행정기구 설치 조례 시행규칙 일부를 다음과 같이 개정한다.

제36조 제1항 및 제2항 중 ˝교육부˝를 ˝교육과학기술부˝로 한다.

⑥~⑫ 생략

부칙 < 제398호, 2008. 06. 27.>

제1조(시행일) 이 규칙은 2008년 7월 1일부터 시행한다.

제2조(다른 규칙 및 훈령의 개정) ① 광주광역시 교육·학예에 관한 법제사무 처리 규칙 일부를 다음과 같이 개정한다.

제3조제3호, 제6조, 제7조, 제8조, 제19조제1항 및 제5항, 제20조, 제21조, 제26조중 "혁신기획과"를 각각 "행정관리과˝로 하고 "혁신기획과장"을 각각 "행정관리과장"으로 한다.

② 광주광역시 교육·학예에 관한 소송사무처리 규칙 일부를 다음과 같이 개정한다.

제2조제6호, 제3조제1항, 제4조제1항, 제7조, 제8조제1항, 제9조제1항, 제10조제3항, 제12조제2항, 제14조제1항, 제15조, 제19조제3항, 제21조중 "혁신기획과"를 각각 "행정관리과"로 하고 "혁신기획과장"을 각각 "행정관리과장"으로 한다.

③ 광주광역시교육청 정보공개 운영 규정 일부를 다음과 같이 개정한다.

제6조제5항중"기록/민원봉사담당사무관"을 "기록관리담당사무관"으로 하고, 별표 1중 "혁신기획과"를 "행정관리과"로 한다.

④ 광주광역시교육청 내부위임 전결 규정 일부를 다음과 같이 개정한다.

별표 2중 "혁신기획과"를 "행정관리과"로 한다.

⑤ 광주광역시교육청 민원봉사실 운영 규정 일부를 다음과 같이 개정한다.

제7조제1호, 제8조, 제11조제1항 및 제2항중 "기록/민원봉사담당사무관"을 각각 "민원봉사담당사무관"으로 한다.

부칙 < 제406호,2008. 12. 31.>

이 규칙은 2009년 1월 1일부터 시행한다.

부칙 < 제419호,2009. 08. 26.>

이 규칙은 2009년 9월 1일부터 시행한다.

부칙 < 제424호,2009. 12. 22.>

이 규칙은 2010년 1월 1일부터 시행한다.

부칙 < 제428호,2010. 02. 17.>

이 규칙은 공포한 날부터 시행한다. 다만, 제24조의2 및 제24조의3의 규정은

2010년 5월 1일부터 시행한다.

부칙 < 제435호, 2010. 08. 11.>

결산서와 재무보고서를「지방자치법」제134조제1항에 따라 의회가 선임한 검사위원의 검사의견서를 붙여 다음 회계연도 6월 말까지 시의회에 제출하여야 한다.

제86조제1항 본문 중 "관리국장"을 "행정지원국장"으로 한다.

28)「광주광역시 교육비특별회계 금고 지정 및 운영 규칙」을 다음과 같이 개정한다.

제3조제3항제4호 "광주광역시의회 및 광주광역시교육위원회에서 추천한 각 1인"을 "광주광역시의회에서 추천한 교육위원회 위원 중 1인"으로 한다.

제3조(다른 훈령의 개정) ①「광주광역시교육청 적극행정 면책제도 운영 규정」일부를 다음과 같이 개정한다.

제2조 본문 중 "광주광역시교육감과 지역교육청 교육장"을 "광주광역시교육감"으로 한다.

②「광주광역시 방송통신고등학교 협력학교 지정 및 협력에 관한 규정」일부를 다음과 같이 개정한다.

제7조제2항 본문 중 "장학진흥과장"을 "창의인성교육과장"으로 한다.

③「광주광역시교육청 기록관 운영 규정」일부를 다음과 같이 개정한다.

제6조제1항 본문 중 "관리과" 를 "학교운영지원과"로, "관리과장"을 "학교운영지원과장"으로 한다.

④「광주광역시교육위원회 및 교육감 소속 지방공무원 보직관리 규정」일부를 다음과 같이 개정한다.

제명 "광주광역시교육위원회 및 교육감 소속 지방공무원 보직관리 규정"을 "광주광역시교육감 소속 지방공무원 보직관리규정"으로 한다.

제1조 및 제2조 본문 중 "광주광역시교육위원회 및 교육감"을 "광주광역시교육감"으로 한다.

제3조제1항제2호 본문 중 "교육위원회"를 삭제한다.

제7조 본문 중 "교육위원회 의사국장"을 "광주광역시의회 교육위원회 전문위원"으로 하고, "관리국장"을 "행정지원국장"으로 한다.

⑤「광주광역시교육감 소관 보안업무 규정 시행요강」일부를 다음과 같이 개정한다.

제3조제1항제2호, 같은 조 제2항제2호 및 제5조제2항5호, 제11조 본문 중 "관리과장" 을 "학교운영지원과장"로 한다.

제3조 제2항제2호 본문 중 "(기록관리팀장)"을 "(기록·정보팀장)"으로 한다.

제4조제1항제2호 본문 중 "학무국장"을 "교육지원국장"으로, "관리국장"을 "행정지원국장"으로 한다.

⑥「광주광역시교육청 성과관리위원회 규정」일부를 다음과 같이 개정한다.

제3조제2항 본문 중 "교원정책과장"을 "교원인사과장"으로 한다.

⑦「광주광역시 학교건축물개축심의위원회 운영 규정」일부를 다음과 같이 개정한다.

제4조제2항 본문 중 "교육행정지원과장"을 "행정예산과장"으로 하고, 같은 조 제3항 본문 중 "학무국장"을 "교육지원국장"으로, "관리과장, 시설재산과장"을 "학교운영지원과장, 학교시설지원과장"으로 한다.

⑧「광주광역시 학교시설사업협의회 운영 규정」일부를 다음과 같이 개정한다.

제3조제1항제2호가목 본문 중 "교육행정지원과장"을 "행정예산과장"으로 하고, 같은 조 제2항제1호 본문 중 "관리국장"을 "행정지원국장"으로 하고, 같은 조 제2항제2호가목 본문 중 "시설재산과장, 학교지원과장"을 "학교시설지원과장, 학교운영지원과장"으로 한다.

⑨「광주광역시 학교시설재난관리심의위원회 운영 규정」일부를 다음과 같이 개정한다.

제4조제2항제1호 중 "관리국장"을 "행정지원국장"으로, "시설재산과장"을 "학교시설지원과장"으로 한다.

제4조(다른 훈령의 폐지) 「광주광역시교육청 정책 품질관리 규정」을 폐지한다.

부칙 < 제451호, 2011. 02. 22.>

제3조(다른 훈령의 개정) ①「광주광역시 방송통신고등학교 협력학교 지정 및 협력에 관한 규정」일부를 다음과 같이 개정한다.

제7조제2항 본문 중 "창의인성교육과장"을 "교육과정과장"으로 한다.

②「광주광역시교육감 소관 보안업무 규정 시행요강」일부를 다음과 같이 개정한다.

제4조제1항1호 본문 중 "기획관리국장"을 "행정국장"으로 하며, 같은 조제2항 본문 중 "비상계획담당관"을 "보안업무담당사무관"으로 한다.

③「광주광역시교육청 정보공개 운영 규정」일부를 다음과 같이 개정한다.

제6조제4항 본문 중 "기획관리국장"을 "행정국장"으로 하며, 같은 조 제5항 본문 중 "기록관리담당사무관"을 "기록물 업무담당사무관"으로 한다.

[별표 1]의 서식 중 "교육정책과, 장학진흥과, 교원정책과, 과학기술정보화과, 평생교육체육과, 행정관리과, 교육행정지원과, 재정복지과"를 "정책기획담당관, 교육과정과, 교원인사과, 미래인재교육과, 인성복지건강과, 교육자치과, 재정지원과"로 한다.

④「광주광역시교육청 민원조정위원회 운영 규정」일부를 다음과 같이 개정한다.

제3조제2항 본문 중 "기획관리국장"을 "행정국장"으로 한다.

⑤「광주광역시 교육규제완화위원회 규정」일부를 다음과 같이 개정한다.

제5조제1항 본문 중 "기획관리국장"을 "행정국장"으로 한다.

⑥「광주광역시교육청 내부위임전결 규정」일부를 다음과 같이 개정한다.

[별표 2]의 서식 중 "교육정책과, 창의인성교육과, 과학직업정보과, 평생교육건강과, 행정관리과, 행정예산과, 재정복지과"를 "정책기획담당관, 교육과정과, 미래인재교육과, 인성복지건강과, 교육자치과, 재정지원과"로 한다.

⑦「광주광역시 학교시설사업협의회 운영 규정」일부를 다음과 같이 개정한다.

제3조제1항1호 본문 중 "기획관리국장"을 "행정국장"으로 하고, 같은 조 같은 항제2호 가목 본문 중 "광주교육시설감리단장"을 "광주광역시학교시설지원단"으로 한다.

⑧「광주광역시 학교시설재난관리심의위원회 운영 규정」일부를 다음과 같이 개정한다.

제4조제1항1호 본문 중 "기획관리국장"을 "행정국장"으로 한다.

제4조(다른 훈령의 폐지) 「광주광역시교육청 성과관리위원회 규정」을 폐지한다.

부칙 < 제456호,2011. 08. 01.>

이 규칙은 공포한 날부터 시행한다.

부칙 < 제463호,2011. 12. 29.>

이 규칙은 2012. 1. 1.부터 시행한다.

부칙 < 제470호, 2012. 04. 01.>

제1조(시행일) 이 규칙은 2012. 4. 1.부터 시행한다.

제2조(다른 규칙의 개정) ①「광주광역시 고등학교 체육특기자 선발에 관한

규칙」일부를 다음과 같이 개정한다.

제6조제3항 본문 중 "인성복지건강과장"을 "체육복지건강과장"으로 한다.

②「광주광역시교육청 행정심판위원회 운영 규칙」일부를 다음과 같이 개정한다.

제2조제2항1호 본문 중 "인성복지건강과장"을 "체육복지건강과장"으로 한다.

제3조(다른 훈령의 개정) ①「광주광역시교육청 정보공개 운영 규정」일부를 다음과 같이 개정한다.

[별표 1]의 서식 중 "인성복지건강과"를 "체육복지건강과"로 한다.

⑥「광주광역시교육청 내부위임전결 규정」일부를 다음과 같이 개정한다.

[별표 2]의 서식 중 "인성복지건강과"를 "체육복지건강과"로 한다.

부칙 < 제477호,2012. 6. 19.>

이 규칙은 2012. 7. 1.부터 시행한다.

부칙 < 제479호,2012. 08. 31.>

이 규칙은 2012. 9. 1.부터 시행한다.

부칙 < 제481호,2012. 09. 18.>

이 규칙은 공포한 날부터 시행한다.

부칙 < 제487호,2012. 12. 28.>

제1조(시행일) 이 규칙은 2013년 1월 1일부터 시행한다.

제2조(다른 규칙의 개정) 「광주광역시교육청 공무원 행동강령」일부를 다음과 같이 개정한다.

제23조 제1항 본문 중 “감사담당관”을 “감사관”으로 한다.

「광주광역시교육청 청렴 시민감사관 구성·운영에 관한 규칙」일부를 다음과 같이 개정한다.

제16조 제3항 본문 중 “감사담당관”을 “감사관”으로 한다.

「광주광역시 농촌 소규모학교 및 초등학교 병설유치원 지원에 관한 조례 시행규칙」일부를 다음과 같이 개정한다.

제2조 제2항 본문 중 “정책기획담당관”을 “정책기획관”으로 한다.

「광주광역시 교육·학예에 관한 법제사무처리 규칙」일부를 다음과 같이 개정한다.

제4조의2 제1항, 제2항, 제3항, 제4항 본문 중 “감사담당관”을 “감사관”으로 한다.

부칙 < 제509호, 2014. 02. 20.>

제1조(시행일) 이 규칙은 2014년 3월 1일부터 시행한다.

부칙 < 제523호,2015. 01. 01.>

제1조 (시행일) 이 규칙은 2015년 1월 1일부터 시행한다.

제2조(다른 규칙의 개정) ① 「광주광역시교육감 소속 지방공무원 명예퇴직수당 등 지급에 관한 규칙」일부를 다음과 같이 개정한다.

제13조 중 "지역교육청"을 "교육지원청"으로 한다.

② 「광주광역시교육청 공무원 행동 강령」일부를 다음과 같이 개정한다.

제23조제1항 중 "지역교육청"을 "교육지원청"으로 한다.

③ 「광주광역시 교육·학예에 관한 법제사무처리 규칙」일부를 다음과 같이 개정한다.

제26조제1항 중 "지역교육청"을 "교육지원청"으로 한다.

④ 「광주광역시특수교육운영위원회 운영 규칙」일부를 다음과 같이 개정한다.

제2조제1항제1호 중 "교육과정과장"을 "혁신교육과장"으로 하고, 제2조제2항 중 "지역교육청"을 "교육지원청"으로 한다.

⑤ 「광주광역시 교육감 행정권한 위임규칙」일부를 다음과 같이 개정한다.

제5조제1호, 같은 조 제1호 가목, 나목, 아목, 자목, 같은 조 제9호 중 "지역교육청"을 각각 "교육지원청"으로 한다.

⑥ 「광주광역시교육감 소속 공무원 당직 및 비상근무 규칙」일부를 다음과 같이 개정한다.

제18조 중 "지역교육청"을 "교육지원청"으로 한다.

⑦ 「광주광역시교육청 학력인정 성인 문자해득교육 프로그램 설치·지정 및 운영에 관한 규칙」일부를 다음과 같이 개정한다.

제5조제3항 중 "교육과정과장"을 "혁신교육과장"으로 하고 제6조제2항 중 "지역교육청"을 "교육지원청"으로 한다.

⑧ 「광주학생교육문화회관 관리·운영 조례 시행규칙」일부를 다음과 같이 개정한다.

제5조제3호 중 "지역교육청"을 각각 "교육지원청"으로 한다.

⑨ 「광주광역시 중학교 무시험입학 지체부자유아 심사 규칙」일부를 다음과 같이 개정한다.

제3조제1항 중 "지역교육청"을 "교육지원청"으로 한다.

⑩ 「광주광역시교육청 교원능력개발평가제 실시에 관한 규칙」일부를 다음과 같이 개정한다.

제12조제2항 중 "지역교육청"을 "교육지원청"으로 한다.

⑪ 「광주광역시 특성화중학교 및 특성화고등학교 지정 및 운영에 관한 규칙」일부를 다음과 같이 개정한다.

제3조제3항 중 "교육과정과장"을 "혁신교육과장"으로 한다.

⑫ 「광주광역시 방송통신중학교 및 방송통신고등학교 운영 규칙」일부를 다음과 같이 개정한다.

제6조 중 "교육과정과장"을 "혁신교육과장"으로 한다.

⑬ 「광주광역시 자율학교 등의 지정 및 운영에 관한 규칙」일부를 다음과 같이 개정한다.

제3조제3항 중 "교육과정과장"을 "혁신교육과장"으로 한다.

⑭ 「광주광역시 농촌소규모학교 및 초등학교병설유치원 지원에 관한 조례 시행규칙」일부를 다음과 같이 개정한다.

제2조제2항 중 "교육과정과장"을 "혁신교육과장"으로, 제5조제2항 중 "교육과정과"를 "혁신교육과"로 한다.

⑮ 「광주광역시교육청 행정심판위원회 운영 규칙」일부를 다음과 같이 개정한다.

제2조제2항제1호 중 "교육과정과장"을 "혁신교육과장"으로 한다.

<16> 「광주광역시 특수목적고등학교의 지정 및 운영에 관한 규칙」일부를 다음과 같이 개정한다.

제3조제3항 중 "교육과정과장"을 "혁신교육과장"으로 한다.

<17> 「광주광역시교육청 장애인교원채용심의위원회 규칙」일부를 다음과 같이 개정한다.

제3조제1항제1호 중 "교육과정과장"을 "혁신교육과장"으로 한다.

<18> 「광주광역시교육청 질환교원심의위원회 규칙」일부를 다음과 같이 개정한다.

제5조제2항 중 "교육과정과장"을 "혁신교육과장"으로 한다.

부칙 < 제541호,2015. 12. 30.>

이 규칙은 2016년 1월 1일부터 시행한다.

부칙 < 제567호,2017. 3. 1.>

이 규칙은 2017년 3월 1일부터 시행한다.

부칙 < 제583호,2017. 12. 19.>

이 규칙은 2018년 1월 1일부터 시행한다.

부칙 < 제592호,2018. 4. 10.>

이 규칙은 공포한 날부터 시행한다.

부칙 < 제599호,2018. 9. 13.>

이 규칙은 공포한 날부터 시행한다.

부칙 < 제610호,2019. 1. 30.>

이 규칙은 2019년 3월 1일부터 시행한다.

부칙 < 제628호,2020. 1. 30.>

이 규칙은 2020년 3월 1일부터 시행한다.

부칙 < 제641호,2020. 8. 13.>

이 규칙은 2020년 9월 1일부터 시행한다.

부칙 < 제643호,2020. 11. 15.>(광주광역시학생교육원 시설 사용에 관한 규칙 일부개정규칙)

제1조(시행일) 이 규칙은 2020년 12월 1일부터 시행한다.

제2조(다른 규칙의 개정) 광주광역시교육청 행정기구 설치 조례 시행규칙 일부를 다음과 같이 개정한다.

별표 민주시민교육과의 분장사무란 중 “학생교육원 및 학생야영장 운영 지도”를 “광주광역시학생교육원 운영 지도”로 하고 광주광역시학생교육원 교학부의 분장사무란 중 “야영장 운영”을 “수련장 운영”으로 한다.

원문 페이지로 이동하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