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구광역시교육감 소속 지방공무원 정원 규칙

[시행 2020. 1. 1.] [대구광역시교육규칙 제775호, 2019.12.30., 일부개정]

제1조(목적) 이 규칙은 「지방교육행정기관의 행정기구와 정원기준 등에 관한 규정」 제20조제2항 및 제3항, 「대구광역시교육감 소속 지방공무원 정원 조례」 제4조 , 제5조 의 규정에 의하여 대구광역시교육청의 정원관리단위기관별·직급별·직렬별 정원에 관한 사항을 규정함을 목적으로 한다. <개정 2009. 3. 1., 2010. 8. 20., 2012. 12. 31.>

제2조(직급ㆍ직렬별 정원) 대구광역시교육청에 두는 지방공무원의 정원관리단위기관별·직급별·직렬별 정원은 별표와 같다. <개정 2010. 8. 20., 2012. 12. 31., 2014. 12. 31.>

부칙 < 제588호,2011. 12. 29.>

이 규칙은 2012년 1월 1일부터 시행한다.

부칙 < 제597호,2012. 2. 29.>

이 규칙은 2012년 3월 1일부터 시행한다.

부칙 < 제608호,2012. 6. 18.>

이 규칙은 공포한 날부터 시행한다.

부칙 < 제611호,2012. 6. 29.>

이 규칙은 2012년 7월 1일부터 시행한다.

부칙 < 제617호,2012. 8. 30.>

이 규칙은 2012년 9월 1일부터 시행한다.

부칙 < 제622호,2012. 11. 12.>

이 규칙은 공포한 날부터 시행한다.

부칙 < 제624호,2012. 12. 31.>

이 규칙은 2013년 1월 1일부터 시행한다.

부칙 < 제631호,2013. 2. 25.>

이 규칙은 2013년 3월 1일부터 시행한다.

부칙 < 제635호,2013. 3. 28.>

이 규칙은 공포한 날부터 시행한다.

부칙 < 제640호,2013. 6. 10.>

제1조(시행일) 이 규칙은 2013년 6월 12일부터 시행한다. 다만, 부칙 제2조(다른 규칙의 개정)는 공포한 날부터 시행한다.

제2조(다른 규칙의 개정) ① 대구광역시 방송통신중학교 및 방송통신고등학교 운영 규칙 일부를 다음과 같이 개정한다.

제3조제1항 및 제2항 중 “교육과학기술부장관”을 각각 “교육부장관”으로 한다.

② 대구광역시교육청 고등학교입학전형 영향평가위원회 운영 규칙 일부를 다음과 같이 개정한다.

제7조제3항 중 “교육과학기술부”를 “교육부”로 한다.

③ 대구광역시 교육과정 편성·운영 등에 관한 규칙 일부를 다음과 같이 개정한다.

제1조 제목 외의 부분 중 “교육과학기술부”를 “교육부”로 한다.

④ 대구광역시교육청 문자해득교육 프로그램 설치·지정 및 운영에 관한 규칙 일부를 다음과 같이 개정한다.

제9조 제목 외의 부분 중 “교육과학기술부장관”을 “교육부장관”으로 한다.

⑤ 대구광역시교육청 행정기구 설치 조례 시행규칙 일부를 다음과 같이 개정한다.

제5조제2항제2호 중 “교육과학기술부”를 “교육부”로 한다.

⑥ 대구광역시 교육비특별회계 재무회계 규칙 일부를 다음과 같이 개정한다.

제2조제1항제11호 중 “교육과학기술부장관”을 “교육부장관”으로 한다.

제7조제1항 중 “교육과학기술부장관”을 “교육부장관”으로 한다.

제8조제1항 전단 중 “교육과학기술부장관”을 “교육부장관”으로 한다.

제17조 본문 중 “교육과학기술부장관”을 “교육부장관”으로 한다.

제27조제1항 중 “교육과학기술부장관”을 “교육부장관”으로 한다.

제28조제1항 중 “교육과학기술부장관”을 “교육부장관”으로 한다.

제30조 제목 외의 부분 중 “교육과학기술부장관”을 “교육부장관”으로 한다.

제154조 제목 외의 부분 중 “교육과학기술부장관”을 “교육부장관”으로 한다.

제163조 제목 외의 부분 중 “교육과학기술부장관”을 “교육부장관”으로 한다.

부칙 < 제641호,2013. 8. 5.>

이 규칙은 공포한 날부터 시행한다.

부칙 < 제642호,2013. 9. 4.>

이 규칙은 공포한 날부터 시행한다.

부칙 < 제645호,2013. 11. 29.>

이 규칙은 2013년 12월 1일부터 시행한다.

부칙 < 제646호,2013. 12. 12.>

이 규칙은 2013년 12월 12일부터 시행한다.

부칙 < 제651호,2014. 1. 1.>

이 규칙은 2014년 1월 1일부터 시행한다.

부칙 < 제653호,2014. 2. 12.>

이 규칙은 2014년 3월 1일부터 시행한다. 다만, 별표 1 일반직 8급의 정원은 공포한 날부터 시행한다.

부칙 < 제654호,2014. 2. 27.>

제1조(시행일) 이 규칙은 2014년 3월 1일부터 시행한다. 다만, 부칙 제2조는 공포한 날부터 시행한다.

제2조(다른 규칙의 개정) ① 대구광역시 교습비등조정위원회 운영에 관한 규칙 일부를 다음과 같이 개정한다.

제1조 중 "지역교육청"을 "교육지원청"으로 한다.

② 대구광역시 교육비특별회계 소관 공유재산 관리 조례 시행규칙 일부를 다음과 같이 개정한다.

제2조제2호 및 제19조제3항 단서 중 "지역교육청"을 각각 "교육지원청"으로 한다.

③ 대구광역시교육청 공무원 행동강령 일부를 다음과 같이 개정한다.

제3조 및 제23조제1항 중 "지역교육청"을 각각 "교육지원청"으로 한다.

④ 대구광역시교육청 공용차량 관리 규칙 일부를 다음과 같이 개정한다.

제2조제6호 중 "지역교육청"을 "교육지원청"으로 한다.

⑤ 대구광역시교육청 교원능력개발평가제 실시에 관한 규칙 일부를 다음과 같이 개정한다.

제1조, 제3조제1항·제2항, 제5조제1항·제2항제3호, 제7조제1항 및 제8조제5항 중 "교육청"을 각각 "교육지원청"으로 한다.

제12조제2항 중 "지역교육청"을 "교육지원청"으로 한다.

⑥ 대구광역시교육청 문자해득교육 프로그램 설치·지정 및 운영에 관한 규칙 일부를 다음과 같이 개정한다.

제6조제2항 중 "지역교육청"을 "교육지원청"으로 한다.

⑦ 대구광역시교육청 예산성과금 운영 규칙 일부를 다음과 같이 개정한다.

제4조제1항제2호 및 제2항제2호 중 "지역교육청"을 각각 "교육지원청"으로 한다.

⑧ 대구광역시교육청 하도급계약심사위원회의 구성 및 운영에 관한 규칙 일부를 다음과 같이 개정한다.

제2조제4호 중 "지역교육청"을 "교육지원청"으로 한다.

⑨ 대구광역시교육청 행정기구 설치 조례 시행규칙 일부를 다음과 같이 개정한다.

제4장의 제목, 제25조제3항제11호 및 제26조제5항제11호 중 "지역교육청"을 각각 "교육지원청"으로 한다.

⑩ 대구광역시교육청 협상에 의한 계약 제안서평가위원회 설치 및 운영에 관한 규칙 일부를 다음과 같이 개정한다.

제3조제2항 중 "지역교육청"을 "교육지원청"으로 한다.

⑪ 대구광역시 특수교육운영위원회 규칙 일부를 다음과 같이 개정한다.

제2조 중 "지역교육청"을 "교육지원청"으로 한다.

⑫ 대구광역시교육감 행정권한의 위임에 관한 규칙 일부를 다음과 같이 개정한다.

제6조제12호 중 "교육청"을 "교육지원청"으로 한다.

⑬ 대구광역시 교육비특별회계 소관 물품관리 조례 시행규칙 일부를 다음과 같이 개정한다.

제3조제1항 기관명칭란, 같은 조 제2항, 제15조제2항·제4항, 제18조, 제21조제2항 각 호 외의 부분 및 같은 조 제2항제1호나목·제2호나목 중 "교육청"을 각각 "교육지원청"으로 한다.

⑭ 대구광역시 교육·학예에 관한 고문변호사 운영 및 소송사무 처리 규칙 일부를 다음과 같이 개정한다.

제8조 단서, 제10조제1항 후단, 제21조제2항 및 제24조 중 "지역교육청"을 각각 "교육지원청"으로 한다.

⑮ 대구광역시립학교 관리·운영에 관한 규칙 일부를 다음과 같이 개정한다.

제2조 중 "지역교육청"을 "교육지원청"으로 한다.

<16> 대구광역시 학원의 설립·운영 및 과외교습에 관한 조례 시행규칙 일부를 다음과 같이 개정한다.

제2조의2제2항, 제4조 및 제11조의2제1항·제1항 단서 중 "지역교육청"을 각각 "교육지원청"으로 한다.

<17> 대구광역시 교육비특별회계 재무회계 규칙 일부를 다음과 같이 개정한다.

제2조제1항제3호·제4호·제6호, 제3조제2항, 제4조제1항 각 호 외의 부분, 같은 조 제2항 각 호 외의 부분, 제5조제3항, 제6조제1항·제2항, 제7조제1항·제2항·제3항, 제8조제2항, 제39조제5항 각 호 외의 부분, 같은 조 제5항제4호, 제48조제3항, 제50조제1항제2호·제3호, 같은 조 제4항, 제53조제2항, 제61조제3항, 제62조제1항 본문·단서, 제74조제1항 전단, 같은 조 제2항, 제75조제1항, 78조제1항 본문, 제83조제1항·제2항, 제91조제2항, 제103조제1항, 제107조 각 호 외의 부분 중 전단, 제113조제1항제2호, 제114조제1항제2호, 제115조제1항, 제116조제1항, 제118조제1항·제2항, 제127조제1호·제2호, 제128조, 제131조제1항·제2항, 제135조제1항 본문, 같은 조 제2항 본문·단서, 제148조, 제152조제1항제1호나목, 제159조제1항·제2항, 제160조제1항, 제162조 및 별표 3 기관의 명칭란 중 "교육청"을 각각 "교육지원청"으로 한다.

부칙 < 제662호,2014. 4. 24.>

이 규칙은 공포한 날부터 시행한다.

부칙 < 제664호,2014. 6. 12.>

이 규칙은 2014년 7월 1일부터 시행한다.

부칙 < 제667호,2014. 08. 11.>

이 규칙은 공포한 날부터 시행한다.

부칙 < 제669호,2014. 8. 28.>

이 규칙은 2014년 9월 1일부터 시행한다.

부칙 < 제684호,2014. 12. 31.>

이 규칙은 2015년 1월 1일부터 시행한다.

부칙 < 제689호,2015. 3. 30.>

이 규칙은 공포한 날부터 시행한다.

부칙 < 제690호, 2015. 6. 1.>

이 규칙은 공포한 날부터 시행한다.

부칙 < 제692호, 2015. 6. 30.>

이 규칙은 2015년 7월 1일부터 시행한다.

부칙 < 제702호,2015. 12. 30.>

이 규칙은 2016년 1월 1일부터 시행한다.

부칙 < 제704호, 2016. 2. 29.>

이 규칙은 2016년 3월 1일부터 시행한다.

부칙 < 제713호, 2016. 05. 30.>

이 규칙은 2016년 7월 1일부터 시행한다.

부칙 < 제716호, 2016. 8. 30.>

이 규칙은 2016년 9월 1일부터 시행한다.

부칙 < 제719호, 2016. 12. 30.>

이 규칙은 2017년 1월 1일부터 시행한다.

부칙 < 제720호, 2017. 1. 10.>

이 규칙은 2017년 1월 10일부터 시행한다.

부칙 < 제721호, 2017. 2. 28.>

이 규칙은 2017년 3월 1일부터 시행한다.

부칙 < 제725호, 2017. 6. 30.>

이 규칙은 2017년 7월 1일부터 시행한다. 다만, [별표 1]에서 일반직 지방교육행정서기란의 본청(직속기관 포함) 정원 54명 중 1명, 일반직 전문경력관 학생수련지도원란의 본청(직속기관 포함) 정원 1명은 2017년 7월 10일부터 시행한다.

부칙 < 제738호, 2017. 12. 20.>

이 규칙은 2018년 1월 1일부터 시행한다.

부칙 < 제744호, 2018. 2. 20.>

이 규칙은 2018년 3월 1일부터 시행한다.

부칙 < 제750호, 2018. 6. 27.>

이 규칙은 2018년 7월 1일부터 시행한다.

부칙 < 제752호,2018. 10. 10.>

이 규칙은 공포한 날부터 시행한다.

부칙 < 제757호,2018. 12. 31.>

이 규칙은 2019년 1월 1일부터 시행한다.

부칙 < 제764호,2019. 2. 28.>

이 규칙은 2019년 3월 1일부터 시행한다.

부칙 < 제767호,2019. 6. 25.>

이 규칙은 2019년 7월 1일부터 시행한다.

부칙 < 제775호,2019. 12. 30.>

이 규칙은 2020년 1월 1일부터 시행한다.

원문 페이지로 이동하기